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에 창단되었으며, 아프리카 여자 축구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2002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처음 출전했다. FIFA 여자 월드컵에는 2015년과 2019년에 참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서는 4번의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올아프리카 게임에서는 2011년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메룬의 축구 -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
카메룬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 축구 강호로, 월드컵 8회 본선 진출 및 1990년 8강 진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5회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금메달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나 최근 월드컵과 네이션스컵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카메룬의 축구 -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7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카메룬에서 개최되어 콩고 공화국이 말리를 꺾고 우승했으며, 판타마디 케이타가 득점왕을 차지한 8번째 대회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Les Lionnes Indomptables (불굴의 암사자들) |
협회 | 카메룬 축구 연맹 |
하위 연맹 | 중앙아프리카 축구 연맹 (UNIFFAC) (중앙 아프리카) |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아프리카) |
주장 | 크리스틴 마니 |
감독 | 장-바티스트 비섹 |
최다 출장 선수 | 마들렌 은고노 마니 (87) |
최다 득점 선수 | 마들렌 은고노 마니 (40) |
홈 경기장 | 스타드 아흐마두 아히조 |
FIFA 코드 | CMR |
FIFA 최고 랭킹 | 41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9년 7월 |
FIFA 최저 랭킹 | 90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07년 10월 |
유니폼 정보 | |
![]() | |
![]() |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2–0 (라고스, 나이지리아; 1991년 6월 15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8–0 (야운데, 카메룬; 2022년 2월 18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6–0 (카두나, 나이지리아; 1998년 10월 27일) 6–0 (파리, 프랑스; 2018년 10월 10일) |
FIFA 여자 월드컵 | |
출전 횟수 | 2회 |
첫 출전 | 2015년 |
최고 성적 | 16강 (2015년, 2019년) |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13회 |
첫 출전 | 1991년 |
최고 성적 | 준우승 (1991년, 2004년, 2014년, 2016년) |
올림픽 | |
출전 횟수 | 1회 |
첫 출전 | 2012년 |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2012년) |
2. 역사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에 창단되었지만, 1990년대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91년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하며 메이저 대회에 첫 발을 내딛었고, 빠르게 아프리카 최정상급 팀으로 자리매김했다. 여러 차례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결승에 진출했으며, 2002년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로도 꾸준히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이며 준우승을 여러 차례 기록했다.
라이오니스(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별칭)는 2015년 캐나다 FIFA 여자 월드컵에 데뷔하여 16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며 세계 무대에 등장했다. 또한 2019 FIFA 여자 월드컵에도 출전하여 16강에 진출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도 출전하여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권위 있는 대회에 참가한 것은 카메룬 여자 축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 첫 공식 경기는 1991년 2월 16일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경기였다.[3]
- 2011 FIFA 여자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2010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나이지리아에 패하며 월드컵 출전은 무산되었다.[4]
2. 1. 창단 초기 (1980년대 ~ 1990년대)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0년대에 창단되었지만 1990년대까지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카메룬은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 1991년 처음 출전하며 메이저 대회에 첫 발을 내딛었다.2. 2. 아프리카 강호로 부상 (2000년대)
카메룬은 1991년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하며 메이저 대회에 첫 발을 내딛었다. 이후 빠르게 아프리카 최정상급 팀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여러 차례 결승에 진출했다. 2002년에는 첫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후로도 꾸준히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이며 여러 차례 준우승을 기록했다.2. 3. 국제 무대 진출과 성장 (2010년대 ~ 현재)
카메룬은 2012 런던 올림픽 축구 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나이지리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사상 첫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4][5] 본 대회 1차 리그에서는 브라질, 영국, 뉴질랜드에 3연패하며 탈락했다.2015 FIFA 여자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2014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코트디부아르를 꺾고 사상 첫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다.[6] 본 대회 첫 경기에서 에콰도르에 으로 크게 이겼고, 두 번째 경기에서는 일본에 로 졌지만, 세 번째 경기에서 스위스를 로 역전승하며 조 2위로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 16강전에서 중국에 로 졌다.
3. 팀 이미지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홈 경기장으로 아마두 아히조 스타드를 사용한다는 것 외에 특별한 팀 이미지는 나타나 있지 않다.
3. 1. 홈 경기장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마두 아히조 스타드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4. 국제 대회 경력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1991년 첫 출전하여 준우승을 차지한 이후, 2014년 대회를 포함하여 총 4번의 준우승(1991, 2004, 2014, 2016)을 기록했지만, 나이지리아의 강세에 밀려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또한 7번의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는 등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했다.
2011년 대회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을 기록했고, 2015년 대회와 2019년 대회에서는 은메달, 2003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대회를 통해 처음으로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다음은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국제 대회 경력을 요약한 표이다.
대회 | 단계 | 결과 | 상대 | 순위 | 득점자 |
---|---|---|---|---|---|
1991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8강 | 부전승 | 콩고 | ||
준결승 | 부전승 | 잠비아 | |||
결승 | 0–2 0–4 (0–6 합계) | 나이지리아 | |||
1995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8강 | 기권 | 앙골라 | ||
1998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부전승 | 시에라리온 | |||
1998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3–2 1–3 |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나 | ||
준결승 | 0–6 | 나이지리아 | |||
3위 결정전 | 3–3 (승부차기: 1–3) | 콩고 민주 공화국 | |||
2000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3–0 (몰수승) | 가봉 | |||
2000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4–1 0–2 0–3 | 모로코 가나 나이지리아 | 3/4 | Abbe, Anong, Anounga, Njolle |
2002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2라운드 | 0–0 4–0 | 가봉 | ||
2002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1–2 0–0 1–0 |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앙골라 | 2/4 | Anounga, 응고노 |
준결승 | 2–3 | 가나 | Pokam, Belemgoto | ||
3위 결정전 | 3–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2003 아프리카 게임 | 1차전 | 3–0 0–1 1–1 | 에티오피아 나이지리아 짐바브웨 | 2/4 | 벨라, Mekongo, 응고노 |
준결승 | 1–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3위 결정전 | 1–0 | 말리 | |||
2004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2라운드 | 0–0 2–0 | 콩고 | Mbida, 응고 은둠부크 | |
2004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2–2 2–2 3–1 | 말리 나이지리아 알제리 | 2/4 | Mbida, Mete, 벨라, Mekongo, Mbida 2, Mekongo |
준결승 | 1–0 (연장전) | 가나 | 벨라 | ||
결승 | 0–5 | 나이지리아 | |||
2006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2라운드 | 4–0 5–0 | 케냐 | ||
2006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1–1 1–2 2–0 | 콩고 민주 공화국 가나 말리 | 2/4 | 응고노, 벨라, Bekombo, 응고 은둠부크 |
준결승 | 0–5 | 나이지리아 | |||
3위 결정전 | 2–2 (승부차기: 4–5)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2007 아프리카 게임 예선 | 기권 | 콩고 민주 공화국 | |||
2008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2라운드 | 3–0 2–1 | 탄자니아 | ||
2008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0–1 2–1 1–0 | 적도 기니 말리 콩고 민주 공화국 | 2/4 | 베콤보, 응고 은둠부크, 응고노 |
준결승 | 0–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3위 결정전 | 1–1 (승부차기: 3–4) | 나이지리아 | 옹궤네 — 1 응고 은둠부크, 2 마니, 4 옹궤네 3 벨라, 5 엠비다 | ||
2010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2라운드 | 2–0 3–0 | 콩고 민주 공화국 | 응고노 2, 벨라, 엥가나무이트, 옹궤네 | |
2010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2–2 2–1 2–1 | 적도 기니 가나 알제리 | 2/4 | 마니, 응고노, 마니, 응고 은둠부크, 옹궤네, 에장귀 |
준결승 | 1–5 | 나이지리아 | 응고크 | ||
3위 결정전 | 0–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2011 아프리카 게임 | 1차전 | 1–0 3–0 부전승 | 모잠비크 알제리 기니 | 1/3 | 주가, 베예네, 이벤, 마니 |
준결승 | 2–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엥가나무이트, 옹궤네 | ||
결승 | 1–0 | 가나 | 응고노 | ||
2012 런던 올림픽 예선 | 2라운드 | 5–0 1–0 | 말리 | 벨라, 마니, 누쿠트, 옹궤네, 주가, ? | |
3라운드 | 0–0 0–2 1 | 적도 기니 | |||
4라운드 | 1–2 2–1 (승부차기: 4–3) | 나이지리아 | 마니, 주가 + 자책골 1개 | ||
2012 런던 올림픽 | 1차전 | 0–5 0–3 1–3 | 브라질 영국 뉴질랜드 | 4/4 | 옹궤네 |
2012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예선 | 2라운드 | 1–1 1–1 (승부차기: 10–9) | 가나 | 이벤, 마니 | |
2012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1차전 | 1–2 4–1 0–0 |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 2/4 | 마니, 이벤 2, 옹궤네, 주가 |
준결승 | 0–2 | 적도 기니 | |||
3위 결정전 | 1–0 | 나이지리아 | 엥가나무이트 | ||
2014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 2라운드 | 1–1 2–1 | 세네갈 | 슈트, 주가 | |
2014 아프리카 여자 선수권 대회 | 1차전 | 1–0 2–0 0–1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알제리 가나 | 1/4 | 푸지오, 엥가나무이트 2 |
준결승 | 2–1 (연장전) | 코트디부아르 | 엥가나무이트, 마니 | ||
결승 | 0–2 | 나이지리아 |
1 자격이 없는 선수를 출전시킨 적도 기니가 실격됨에 따라 카메룬이 최종 예선 라운드에 진출했다.
4. 1. FIFA 여자 월드컵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한 2014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사상 첫 월드컵 본선에 올라 처음 출전한 이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고, 2018년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3위로 2019년 대회 본선에도 출전하여 전 대회에 이어 2회 연속 월드컵 16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1]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1 | 예선 탈락 | |||||||
1995 | 예선 참가 포기 | |||||||
1999 | 예선 탈락 | |||||||
2003 | ||||||||
2007 | ||||||||
2011 | ||||||||
2015 | 16강 | 11위 | 4 | 2 | 0 | 2 | 9 | 4 |
2019 | 15위 | 4 | 1 | 0 | 3 | 3 | 8 | |
2023 | 예선 탈락 | |||||||
2027 | 미정 | |||||||
합계 | 3/10 | - | 8 | 3 | 0 | 5 | 12 | 12 |
2015 | 조별리그 | 6월 8일 | Ecuador|에콰도르영어 | 승 6–0 | BC 플레이스, 밴쿠버 | |||||
---|---|---|---|---|---|---|---|---|---|---|
6월 12일 | Japan|일본일본어 | 패 1–2 | BC 플레이스, 밴쿠버 | |||||||
6월 16일 | Switzerland|스위스de | 승 2–1 | 커먼웰스 스타디움, 에드먼턴 | |||||||
16강 | 6월 20일 | China|중국중국어 | 패 0–1 | 올림픽 스타디움, 몬트리올 | ||||||
2019 | 조별리그 | 6월 10일 | Canada|캐나다영어 | 패 0–1 | 스타드 드 라 모송, 몽펠리에 | |||||
6월 15일 | Netherlands|네덜란드nl | 패 1–3 | 스타드 뒤 에노, 발랑시엔 | |||||||
6월 20일 |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 | 승 2–1 | 스타드 드 라 모송, 몽펠리에 | |||||||
16강 | 6월 23일 | England|잉글랜드영어 | 패 0–3 | 스타드 뒤 에노, 발랑시엔 |
4. 2. 올림픽 축구
2012년 대회에 처음으로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지만, 개최국인 영국, 브라질, 뉴질랜드를 상대로 승점 1점도 얻지 못한 채 3전 전패·A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2]하계 올림픽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6 | 예선에서 기권 | |||||||
2000 | 진출 실패 | |||||||
2004 | ||||||||
2008 | ||||||||
2012 | 조별 리그 | 3 | 0 | 0 | 3 | 1 | 11 | |
2016 | 진출 실패 | |||||||
2020 | ||||||||
2024 | ||||||||
총계 | 8강/1회 | 3 | 0 | 0 | 3 | 1 | 11 |
4. 3.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지만, 나이지리아의 강세에 밀려 우승을 차지하지는 못했다. 1991년 첫 출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이후, 2014년 대회를 포함하여 총 4번의 준우승(1991, 2004, 2014, 2016)을 기록했다. 또한 7번의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는 등 꾸준히 상위권 성적을 유지했다.개최년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1 | 준우승 | 2 | 0 | 0 | 2 | 0 | 6 |
1995 | 출전 포기 | ||||||
1998 | 4위 | 4 | 2 | 0 | 2 | 7 | 13 |
2000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4 | 6 |
2002 | 3위 | 5 | 2 | 2 | 1 | 7 | 5 |
2004 | 준우승 | 5 | 1 | 3 | 1 | 8 | 10 |
2006 | 4위 | 5 | 1 | 2 | 2 | 6 | 10 |
2008 | 4위 | 5 | 2 | 1 | 2 | 4 | 6 |
2010 | 4위 | 5 | 2 | 1 | 2 | 7 | 11 |
2012 | 3위 | 5 | 2 | 1 | 2 | 6 | 5 |
2014 | 준우승 | 5 | 3 | 0 | 2 | 5 | 4 |
2016 | 준우승 | 5 | 4 | 0 | 1 | 6 | 1 |
2018 | 3위 | 5 | 3 | 2 | 0 | 10 | 4 |
합계 | 12/13 | 54 | 23 | 12 | 19 | 70 | 81 |
4. 4. 올아프리카 게임
2011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을 맛보았고, 2015년 대회와 2019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2003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연도 | 결과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2003 | 동메달 | 5 | 2 | 1 | 2 | 7 | 5 | |||||||||||||||||||||||||||||||||||||||||||||||||||||||||||||||||||||||||||||||||||||||||||||||||||||||||||||||||||||||||||||||||||||||||||||||||||||||||||||||||||||||||||||||||||||||||||
2007 | 기권 | |||||||||||||||||||||||||||||||||||||||||||||||||||||||||||||||||||||||||||||||||||||||||||||||||||||||||||||||||||||||||||||||||||||||||||||||||||||||||||||||||||||||||||||||||||||||||||||||||
2011 | 금메달 | 4 | 4 | 0 | 0 | 7 | 0 | |||||||||||||||||||||||||||||||||||||||||||||||||||||||||||||||||||||||||||||||||||||||||||||||||||||||||||||||||||||||||||||||||||||||||||||||||||||||||||||||||||||||||||||||||||||||||||
2015 | 은메달 | 4 | 1 | 2 | 1 | 4 | 4 | |||||||||||||||||||||||||||||||||||||||||||||||||||||||||||||||||||||||||||||||||||||||||||||||||||||||||||||||||||||||||||||||||||||||||||||||||||||||||||||||||||||||||||||||||||||||||||
2019 | 카메룬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참조 | |||||||||||||||||||||||||||||||||||||||||||||||||||||||||||||||||||||||||||||||||||||||||||||||||||||||||||||||||||||||||||||||||||||||||||||||||||||||||||||||||||||||||||||||||||||||||||||||||
{{flagicon|} | } 2023 || 미정
직책 | 이름 |
---|---|
감독 | 장-바티스트 비섹 |
5. 2. 역대 감독
- 칼 에노우 (2003–2018)
- '''알랭 즈엄파''' (????–2022)
- 가브리엘 자보 (2022–2023)
- 장-바티스트 비섹 (2023–)
- 크리스틴 마니 (????–)
6. 선수
카메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4년 2월에 열리는 2024년 아프리카 여자 올림픽 예선 참가 선수 명단을 발표했으며,[1] 최근 12개월 이내에 차출된 선수 명단도 확인할 수 있다.
6.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2월에 열리는 2024년 아프리카 여자 올림픽 예선에 참가할 선수 명단이다.[1]포지션 | 이름 | 소속팀 |
---|---|---|
GK | 캐시 비야|캐시 비야프랑스어 | 에클레르 FF |
GK | 미카엘리 비히나|미카엘리 비히나프랑스어 | 레이싱 파워 |
GK | 크리스테밀리 오노모|크리스테밀리 오노모프랑스어 | FC 에볼로와|FC 에볼로와프랑스어 |
DF | 올린 주트시|올린 주트시프랑스어 | 레키에 FF |
DF | 에스텔 양가|에스텔 양가프랑스어 | FC 에볼로와|FC 에볼로와프랑스어 |
DF | 이네스 마아그|이네스 마아그프랑스어 | 아마조네스 FAP |
DF | 팔론 메포메투|팔론 메포메투프랑스어 | 플뢰리 |
DF | 콜레트 은자나|콜레트 은자나프랑스어 | 랭스 |
DF | 앤시 응위아뎀|앤시 응위아뎀프랑스어 | 아메드 |
DF | 엘리안 만볼라모|엘리안 만볼라모프랑스어 | 아틀레티코 오리엔세 |
DF | 버나뎃 응가세 엠벨레|버나뎃 응가세 엠벨레프랑스어 | 플뢰리 |
MF | 나오미 에토|나오미 에토프랑스어 | 아마조네스 FAP |
MF | 줄리 엔케|줄리 엔케프랑스어 | 소속 없음 |
MF | 그레이스 응고크 양고|그레이스 응고크 양고프랑스어 | DC 파워 FC |
MF | 샬린 메용|샬린 메용프랑스어 | 런던 시티 라이오네스 |
MF | 브리짓 옴부두|브리짓 옴부두프랑스어 | 하카리구쥐 스포르 |
MF | 미레유 첸강|미레유 첸강프랑스어 | RC 루베 베르비크 |
FW | 마나 라민|마나 라민프랑스어 | 르망 |
FW | 가브리엘 옹궤네|가브리엘 옹궤네프랑스어 (주장) | CSKA 모스크바 |
FW | 플로라 카메니|플로라 카메니프랑스어 | 루브 미프로프 |
FW | 마리 응가|마리 응가프랑스어 | 하카리구쥐 스포르 |
FW | 애니 엥가넴벤|애니 엥가넴벤프랑스어 | AS 아와 |
FW | 브렌다 타베|브렌다 타베프랑스어 | 애슬론 타운 |
FW | 아자라 슈투 뇨야|아자라 슈투 뇨야프랑스어 | 알 카드시아 |
6. 2. 최근 차출된 선수
포지션 | 선수 이름 | 생년월일 | 소속 클럽 | 최근 차출 |
---|---|---|---|---|
GK | Chelsea Ngole|첼시 응골레프랑스어 | Authentic Ladies de Douala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GK | Ange Bawou|앙주 바우프랑스어 | BIIK Shymkent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GK | Marthe Ongmahan|마르트 옹마한프랑스어 | Lekié FF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DF | Michele Moumazim|미셸 무마짐프랑스어 | Panthère Security Filles de Garoua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DF | Moussa Raihina|무사 라이히나프랑스어 | Vision Foot AC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DF | Kamine Nana|카민 나나프랑스어 | Authentic Ladies de Douala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DF | Claudia Dabda|클라우디아 다브다프랑스어 | 알-힐랄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DF | Easther Mayi Kith|에스더 마이 키스프랑스어 | 생테티엔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DF | Frédérique Messomo|프레데리크 메소모프랑스어 | 이베르동-스포르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DF | Marie Victoire Ngono|마리 빅투아르 응고노프랑스어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DF | Marlène Essimi|마를렌 에시미프랑스어 | FC Ebolowa프랑스어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MF | Elise Ndome|엘리스 은돔프랑스어 | Caïman FC Filles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MF | Camilla Daha|카밀라 다하프랑스어 | CD 헤타페 페메니노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MF | Fadimatou Kome|파디마투 코메프랑스어 | 몽토방 | 케냐전, 2023년 9월 26일 | |
MF | Achta Toko|아슈타 토코프랑스어 | CD 헤타페 페메니노 | 케냐전, 2023년 9월 26일 | |
MF | Genevieve Ngo Mbeleck|제네비에브 응고 음벨렉프랑스어 | 베이징 | 케냐전, 2023년 9월 26일 | |
MF | Brigitte Mbomozomo|브리지트 음보모조모프랑스어 | Amazone FAP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MF | Monique Ngock|모니크 응곡프랑스어 | 랭스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FW | Éliane Bibout|엘리안 비부프랑스어 | Éclair FF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FW | Raïssa Nnanga|라이사 은낭가프랑스어 | Lekié FF | 2024 아프리카 여자 네이션스컵 예선PRE | |
FW | Kévine Ossol|케빈 오솔프랑스어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
FW | Michaela Batya|미카엘라 바티아영어 | 톨루카 | 우간다전, 2023년 10월 31일 |
참조
[1]
Twitter
squad for CAF Women's Olympic Qualifying 3rd round
https://twitter.com/[...]
[2]
웹사이트
Cameroon qualifies to Olympics
http://www.fecafooto[...]
fecafootonline.com
2011-10-22
[3]
웹사이트
Fédération Camerounaise de Football
http://www.fecafooto[...]
카메룬 축구 연맹
2011-10-27
[4]
웹사이트
Women's duo make history in Africa
http://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11-10-24
[5]
웹사이트
Cameroon stun Nigeria for London berth
http://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11-10-22
[6]
웹사이트
History for Cameroon, Nigeria maintain record
http://www.fifa.com/[...]
국제축구연맹
2014-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